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카슈미르, 끝나지 않은 전쟁: 2025년 분쟁의 배경과 향후 전망
    카테고리 없음 2025. 5. 3. 07:35
    728x90
    반응형
    SMALL

    1. 역사적 배경

    • 1947년 분리 독립: 인도와 파키스탄은 영국으로부터 분리 독립. 종교를 기준으로 분할되었으며, 힌두교 중심의 인도와 이슬람 중심의 파키스탄이 탄생.
    • 카슈미르의 귀속 논란: 힌두교도 군주 하리 싱이 통치하던 카슈미르는 이슬람 인구가 다수였으나 인도에 편입. 이로 인해 첫 전쟁 발생.
    •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1947-1948): 유엔 중재로 정전, 현재의 LoC(실질 통제선) 형성. 주민투표 약속은 조건 불일치로 미이행.

    2. 지속된 갈등과 군사 충돌

    • 1965년: 카슈미르 국경 충돌 → 타슈켄트 선언으로 휴전.
    •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전쟁으로 인도-파키스탄 관계 악화.
    • 1980~90년대: 인도령 카슈미르 내 반군 봉기, 인도-파키스탄 간 대리전 양상.
    • 1999년 카길 전쟁: 핵무기 보유 이후 첫 충돌. 국제적 우려 고조.
    • 2000년대: 휴전 시도 반복되나 국경 충돌과 테러로 관계 악화.

    3. 2019년 이후 인도의 정책 변화

    • 헌법 370조 폐지: 인도는 카슈미르의 특별 지위를 철회하고 중앙 직할령으로 전환.
    • 파키스탄 반발: 외교 단절 및 국제사회 제소 시도, 실질적 효과는 제한적.

    4. 2025년 분쟁의 촉발 요인

    파할감 테러 공격 (2025년 4월 22일)

    • 자살폭탄 테러로 관광객 26명 사망.
    • 인도는 파키스탄 기반 무장단체 LeT를 배후로 지목.
    • 인도 내 반파키스탄 여론 급등, 정부는 군사·경제 압박 선언.

    인도의 대응

    • 카슈미르 내 반군을 “파키스탄의 대리전”으로 규정.
    • 힌두 민족주의 강화와 함께 군사적 통제력 확대.
    • 파키스탄 항공기 영공 금지, 인더스강 물 차단 경고.

    파키스탄의 반응

    • “전쟁 행위”로 간주, 핵 억지 언급.
    • 군사적 보복 공습 및 LoC에서 충돌 시작.
    • 경제 위기로 전면전은 부담, 대리세력 활용 가능성.

    5. 군사 충돌과 확전 가능성

    • 4월 24일부터 LoC에서 포격·공습 확대.
    • 양국 모두 병력 및 무기 추가 배치.
    • X(구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에서 군사 동원 관련 정보 확산.

    6. 국제적 반응과 지정학적 변수

    • 중국: 파키스탄 지지, 인도 견제 지속. 자국-인도 국경 문제와 연계.
    • 미국·서방: 테러 규탄, 평화 촉구. 인도에 우호적 입장.
    • 러시아: 중립 유지.
    • OIC 등 이슬람권: 파키스탄 지지 성명, 실질적 개입은 없음.

    7. 카슈미르 주민의 시각

    • 인도와 파키스탄 모두에 대한 불신.
    • 군사 충돌, 관광산업 위축, 통제 강화로 주민 피해 심화.
    • 독립 또는 자치 요구 여전, 양국은 억압.

    8. 결론: 2025년 분쟁의 특징

    • 핵무기 보유 이후의 전면 충돌 위험성 증가.
    • 인도의 경제·군사 압박 전략 강화.
    • 파키스탄의 비대칭 전술 의존 가능성.
    • 정보 확산 속도 증가로 여론 및 오판 위험 확대.
    728x90
    반응형
    LIST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