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양보호사] 호흡기계 주요질환(독감, 만성기관지염, 폐렴, 폐결핵 등) 및 예방방법자기계발 2022. 4. 4. 20:47728x90반응형SMALL
급속한 고령화로 가족 내에 무조건 어르신 한 명을 봉양해야 하는 시대입니다. 이런 사회 변화 속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직업 중 하나는 요양보호사입니다. 따라서 기초지식이 상당히 필요한데요. 그와 관련하여 기초지식인 호흡기계 노화에 따른 특성과 호흡기계 주요 질환 및 예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양보호사 호흡기계란?
호홉기계는 공기를 폐로 전달하는 공간과 통로로 비강,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 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호흡기계는 산소 섭취와 이산화탄소, 배설이라는 가스 교환을 담당합니다. 노화에 따른 특성으로는 신체조직 내 수분 함유량의 감소로 콧속의 점막이 건조하게 되어 공기를 효과적으로 홉입하지 못합니다. 폐포의 탄력성 저하, 폐순환량 감소로 폐활량이 줄어들어 쉽게 숨이 차고, 호흡근육의 위축과 근력의 약화로 호흡 증가 시 피로해지기 쉽습니다. 기침반사와 섬모운동 저하로 미세 물질들을 걸러내지 못하며, 기관지 내 분비물이 증가되어 호흡기계 감염이 쉽게 발생합니다.
1. 독감(인플루엔자)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으로 겨울철에 유행하며 고열과 함께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또는 급성 인플루엔자에 걸린 대상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분비되는 호홉기 비말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가 됩니다. 증상으로는 갑작스러운 발열(38℃ 이상), 두통, 전신쇠약감, 마른기침, 인두통, 코막힘, 근육통 등이 있습니다.
치료 및 예방으로는 안정을 취해야 하며,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야 합니다. 필요시 해열진통제나 처방받은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도록 하며 매년 1회 예방접종을 통해 인플루엔자감염을 예방토록 하여야 합니다.
2. 만성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이란 기관지의 만성적 염증으로 기도가좁아져 숨 쉬기가 힘든 질환입니다. 흡연, 미연에 노출되어 걸리거나, 세균성 혹은 바이러스성 감염이 많은 질환입니다. 증상은 심한 기침, 특히 이른 아침에 발생하는 가래 끓는 기침, 점진적으로 호흡곤란 심화, 전신 쇠약감, 체중감소, 잦은 호흡기 감염, 흰색이나 회색 또는 점액성의 화농성 가래 등의 증상이 만성기관지염의 증상입니다.
치료 및 예방으로는 심호홉과 기침을 하여 기관지 내 가래를 배출합니다. 처방받은 거담제와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하여 가래를 묽게 하고 좁아진 기도를 넓혀 줍니다. 지나치게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 자극적인 음식은 기관지 경련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피하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으로 여러 번으로 나누어 식사하도록 하며, 금연하여야 합니다. 공기 오염이 심한 지역에 사는 경우 가능한 한 오염된 공기에 노출되지 않게 합니다. 공기청정기를 설치하거나,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차가운 기후,습기가 많은 기후에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기관지 자극을 감소시키도록 합니다.
3. 폐렴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화학물질에 의해 폐 조직에 염증이 생겨 기관지가 두껍게 되고, 섬유화되어 폐로 산소를 홉수 하는 능력이 감소하는 질환입니다. 관련 요인으로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또는 홉인성 폐렴: 음식물이나 이물질이 기도 내로 넘어가기 관지나 페에 염증을 유발합니다. 증상으로는 두통, 근육통, 감기 정도의 가벼운 증상, 고열, 기침, 흉통, 호흡곤란, 화농성 가래, 마른기침이나 짙은 가래를 뱉어내는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치료 및 예방으로는 세균성 폐렴은 항생제 치료를 하며, 바이러스성 폐렴은 증상에 따라 치료 방법을 달리합니다. 산소 공급, 체위 변경, 기침 및 심호흡으로 혈액의 산소농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며, 규칙적으로 환기하고 적절한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합니다. 입양과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감염의 전파를 예방합니다. 외출 후 손 발을 깨끗이 씻고, 사람이 많은 장소에 출입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합니다. 환절기 이전에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하여야 합니다.
4. 천식
천식은 기도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기관지 벽의 부종과 기도 협착, 여러 가지 자극에 대해 기도가 과민반응을 보이는 상태를 말합니다. 관련요인으로는 감기, 비염 등과 같은 염증, 홍분이나 스트레스, 긴장감, 꽃가루. 집먼지진드기, 강아지나 고양이 털 및 배설물, 곰팡이, 대기오염, 황사, 매연, 먼지 등의 자극물질, 자극적인 냄새 (담배연기), '갑작스러운 온도나 습도의 차이' 특히 차고 건조한 공기에 갑자기 노출되는 것, 기후변화, 노화에 따른 폐 기능 감소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기침, 숨을 내쉴 때 쌕쌕거리는 호흡음, 호흡곤란, 점액 분비량의 증가, 가슴이답답한 느낌이나 불쾌감, 기도 경련, 알레르기성 비염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치료 및 예방으로는 호흡곤란이 심한 경우 운동을 할 때 30분 전에 기관지확장제를 투여하면 호흡곤란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처방받은 약물을 정확하게 투여해야 하며, 처방받지 않은 약물은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담배, 벽난로, 먼지, 곰팡이를 피하며, 따뜻한 곳에서 추운 곳으로 가거나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를 피하여야 합니다. 적당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며 스트레스와 불안을 줄입니다. 침구류는 먼지나 진드기를 없애기 위해 뜨거운 물로 세탁한다. 매년 1회 인플루엔자 백신을, 65세 이후에는 1회 폐렴구균 백신을 예방 접종합니다.
※ 기관지 확장제(흡인기) 사용순서 입니다.
① 사용 전에 뚜껑을 열고 흔듭니다.
② 머리를 약간 뒤로 젖히고 충분히 숨을 내쉽니다.
③ 입을 열고 마개를 입으로 뭅니다.
④ 입으로 심호흡을 하면서 1회 용량이 흡입되도록 흡인 기를 누릅니다.
⑤ 3~5초간 천천히 깊게 숨을 들이쉽니다.
⑥ 약이 폐에 깊숙이 도달할 수 있도록 적어도 10초간 숨을 참은 다음 천천히 내쉽니다.
⑦ 다음 투약까지 적어도 1분간 기다립니다.
⑧ 흡인기 뚜껑을 덮습니다.
⑨ 하루에 한 번 이상 뚜껑을 열고 홉인기의 플라스틱 통과 뚜껑을 흐르는 물에 씻습니다.
* 기관지 확장흡인기는 제품 이용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시용 설명서를 참조하여야 합니다.
5. 폐결핵
폐결핵은 결핵균이 페에 들어가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합니다. 관련 요인으로는 결핵균의 호흡기 감염, 알코올 또는 약물 중독, 영양 부족 등으로 인한 면역력 저하, 당뇨병, 악성 종양, 만성 신부전 등과 같은 만성 질병 악화, 스테로이드와 같은 면역 억제제 사용 등과 관련 요인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초기에는 대부분 무증상이다가 흉부방사선 촬영(X-ray)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주 이상의 기침과 흉통 및 오후에 고열이 있다가 늦은 밤에 식은땀과 함께 열이 내리는 증상이 반복되는 증상이 있습니다. 피로감, 식욕부진, 체중 감소, 무기력감, 점액성, 화농성, 혈액성 가래(농흉 및 객혈), 호흡 곤란과 흉막염 등의 합병증 등이 있습니다.
치료 및 예방으로는 결핵약을 제대로 복용하는지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합니다. 약풀 투여로 인한 위장장애, 홍조, 피부 발진, 가려움증, 발열 같은 부작용을 관찰합니다. 주기적으로 간 기능 검사와 객담 검사를 받습니다. 결핵은 감염성이 있으므로 홍부방사선 촬영(X-ray) 검진, 가래검사를 해서 조기에 발견하여야 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감염되지 않도록 기침 예절을 지켜야 합니다.
728x90반응형LIST'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수시 시민이라면 누구나 보험료 받아가세요!! (0) 2022.04.13 [요양보호사] 노화로 인한 심혈관계 질환 종류 와 관련요인 치료 및 예방방법 (0) 2022.04.05 [요양보호사] 노화에 따른 변화와 소화기계 질환(위염, 위암, 대장암 등) 예방방법 (1) 2022.04.04 코로나19 확진자 및 동거인 안내문 / 재택치료 (0) 2022.03.28 MBTI 가 뭐예요? (0) 2022.03.26